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75

스타벅스 "주문없이 매장을 이용할 수 없다" 스타벅스가 주문 여부와 관계 없이 매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부 정책을 폐지합니다.  스타벅스는 1월 내로 고객과 직원의 안전과 매장 이용 경험 개선을 위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스타벅스가 직원들에게 보낸 공지한 새 정책에는 괴롭힘, 폭력, 폭언, 음주, 흡연 금지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매장에 안내하는 방안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주문 없이 매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방침도 시행됩니다. 바리스타는 새 정책을 따르지 않는 이들에게 퇴거를 요청해야 합니다. 무료로 제공돼왔던 식수도 앞으로는 주문한 고객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스타벅스의 새로운 정책은 빠르면 이달 27일부터 1만1000개 이상의 북미 매장에서 시행될 예정입니다 . 이에 따라 2018년부터 이어져온 ’매장 개방 정책‘은 7년만에.. 2025. 1. 14.
지난 1년 직장·대학가 문서 55.9% AI로 만들었다 자기소개서·과제·학위논문 등 지난해 직장과 대학가에서 만들어지는 문서의 절반 이상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표절 탐지 전문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사 무하유가 2024년 한 해 동안 ‘GPT킬러’로 검사된 173만7366건의 문서를 검사한 결과라고 합니다. GPT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해 주는 전문 소프트웨어입니다. 현재 공기관, 학교 및 연구원, 사기업 등 3485여 개 기관에서 약 1000만 명이 사용 중입니다. 검사된 문서의 55.9%에서 챗GPT 활용이 감지됐으며, 생성형 AI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문서는 44.1%에 그쳤다고 합니다. 검사 문서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대학 과제물이 70.04%로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이어 자기소개서 8.92%, 학위논문 6... 2025. 1. 14.
日 햅쌀 공급에도 계속되는 쌀값 폭등에 식재료값까지 일본은행(BOJ) 구내식당이 최근 일본 쌀을 포기하고 값싼 대만산 수입 쌀을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햅쌀이 나오는 가을 이후엔 쌀 가격이 진정될 것이라던 일본 중앙은행의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입니다.일본은행 직원들도 '레이와(令和·2019년부터 사용 중인 천황의 연호) 쌀 파동’을 피부로 실감하는 상황입니다. 대만 쌀은 일본 쌀과 식감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쌀 값 급등한 이유로는 폭염으로 인한 작년 쌀 생산량 감소, 지진으로 인한 사재기, 방일 관광객 증가 등이 꼽힙니다.지난해 11월 일본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쌀 가격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3.6% 급등했습니다. 통계가 존재하는 1971년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입니다. 대형 수퍼마켓에서 대만산 수입 쌀(5㎏)은 2797.. 2025. 1. 14.
설 임시공휴일을 31일 아닌 27일 지정한 이유 정부는 오는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했습니다. 설 연휴 기간을 총 엿새(1월 25~30일)로 늘려 소비를 진작하고 침체된 내수 경제를 살리자는 취지입니다. 특히 설 당일(29일) 이전에 나흘을 몰아 쉽니다. 이 방안은 오는 14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장을 비롯한 일부에서 “27일이 아닌 31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 경우 연휴 기간은 1월 28일부터 2월 2일까지가 됩니다. 기간은 엿새로 같지만, 설 당일 후에 몰아 쉬는 게 차이입니다.  월간 업무 마감일(31일)에 쉬는 것이 직장인의 일을 덜 수 있다는 점, 설 전에 길게 쉬면 며느리들의 가사 부담이 늘어난다는 것, 명절을 마치고 편하게 쉴 수 있다는 점 등을 장점으로 들고 있습니..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