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세계 금융시장을 공황으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미국의 34% 상호 관세에 중국이 34% 맞불 관세와 함께 희토류 수출 통제 등 보복 조치를 발표하면서 7일 아시아 증권 시장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최악으로 폭락하였습니다.

한국 코스피는 개장 초반 5% 넘게 급락해 5분간 프로그램 매매가 정지되는 사이드카를 발동하였습니다. 종일 투매에 시달린 끝에 코스피는 직전 거래일보다 5.57%, 코스닥은 5.25% 하락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평균도 7.83% 급락한 채 거래를 마쳤다.
대만 자취안지수는 9.7% 폭락했고 홍콩 항셍지수는 13.22%, 중국 본토 상하이종합지수도 7.34% 떨어졌다. 홍콩의 이날 하루 주가 하락 폭은 2008년 금융 위기 때보다 컸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장중 3~6%대 하락세를 보였고, 뉴욕 증시도 연이어 급락세로 출발했습니다. S&P500은 개장 초반 4%대 하락하며 5000선이 무너졌고,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 역시 4%대 하락에 1만5000선이 깨졌습니다.
세계 증시가 몸살을 앓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는 기자들에게 “아무것도 떨어지길 바라지 않지만, 때로는 약을 먹어야 뭔가를 고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금융시장이 무너지고 있어도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관세 전쟁을 계속해 나갈 것임을 시사한 것입니다.
‘월가의 황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은 7일 연례 주주 서한을 통해 ”동맹국들과의 경제적 분열은 장기적으로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 문제(관세)를 빨리 풀어야 한다.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적으로 증가하고 역전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뉴욕 증시의 10% 안팎 급락한 뒤 아시아에도 기록적 패닉이 이어진 것은 미국발 관세 전쟁이 현실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보복 관세와 기업 제재 등 조치를 들고나오면서 ‘G2’가 전면전으로 치닫는 데다, EU와 캐나다 등 주요국도 보복 조치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중국 전문가는 지난 90년간 지속돼 온 글로벌 무역 시스템이 붕괴되고 있다고 하면서 경제적 영향이 얼마인지, 시장의 바닥이 어디인지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태라고 하였습니다.
7일 한국 유가증권 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915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외인은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도 1조1819억원어치를 매도하는 등 현·선물 합계 3조2734억원어치를 팔아 치웠습니다. 역대 다섯째로 큰 외국인 매도세입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시가총액 상위 수출주가 빠짐없이 하락했습니다. 관세 전쟁의 ‘피난처’로 꼽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D현대중공업 등 조선·방산 업종도 투매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중국 증시에서도 텐센트와 알리바바, 샤오미 등 중국권 테크 대장주들이 이날 장중 12~20%까지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의 하루 최대 낙폭을 갱신한 13.22% 하락 마감했습니다.
관세 전쟁이 미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성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공포 속에서 그간 안전자산으로 각광받던 금 가격도 꺾였습니다. 구리와 유가 등 원자재 가격뿐 아니라 비트코인 같은 가상 화폐도 급락했습니다. 위험 자산 투자를 피하려는 글로벌 자금이 대피할 피난처가 사라진 것입니다.
트럼프와 미국 정부 핵심 인사들은 관세 정책을 그대로 밀고 나가겠다는 뜻을 재차 밝히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목표는 무역 적자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중국을 상대로 한 무역 적자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월가의 입장을 반영해 줄 것으로 인식되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경기 침체가 반드시 발생한다는 가정은 부정한다면서 주식시장 폭락을 ‘조정 과정’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도 이전의 세금 감면과 규제 완화가 임금 상승을 이끌었다며, 현재의 경제 정책을 옹호했습니다.
출처: ChatGPT,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