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나마 운하' 운영권 미국으로 넘어간다

by 상식살이 2025. 3. 23.
반응형

파나마 운하 양쪽 입구 발보아항과 크리스토발항의 운영권이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에서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컨소시엄으로 넘어갑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운하 입구 두 항구와 본사가 전 세계 23개국에서 운영해온 43개 항구를 228억 달러에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하였습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홍콩 부호 리카싱이 이끄는 청쿵그룹의 지주회사로 항만과 통신, 인프라, 유통 등 4개 분야에 걸쳐 글로벌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Brian J. Tromp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운하를 되찾겠다고 했던 그 두 항구입니다. 대통령으로 취임하자마자 파나마 정부를 외교적으로 압박해 중국과 맺은 일대일로 협정에서 탈퇴하도록 하였고, 이번에는 두 항구의 운영권을 넘겨받는 계약까지 체결했습니다. 취임한 지 두 달도 안 돼 속전속결로 이 문제를 정리한 겁니다.

 

2017년 수교 이후 8년동안 파나마에 공을 들여온 중국은 당혹해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을 직접 공격하지는 못하고 항구 운영권을 매각한 리카싱을 “조국과 민족을 저버린 매국노”라며 거세게 공격하였습니다. 공산당과 국무원(정부) 홍콩·마카오 판공실, 홍콩 친중 매체 대공보 등이 나서서 매각 계약 취소도 압박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룹 매출의 88%를 미주와 유럽 등지에서 거두는 청쿵그룹을 압박할 실질적인 수단은 마땅치 않은 상황입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24개국에서 53개 항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중 중국과 홍콩에 있는 10개 항구를 제외한 23개국 43개 항구를 이번에 매각합니다. 또 파나마 운하의 두 항구를 운영하는 ‘파나마 포트 컴퍼니(PPC)’ 지분 90%도 넘기기로 했습니다.

 

블랙록 컨소시엄에는 블랙록 외에 미국 인프라 사모펀드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 세계 1위 컨테이너 선사인 스위스 MSC의 항만 운영 자회사 터미널인베스트먼트(TIL) 등이 참여했습니다. 전체 매각 금액 228억 달러 중 부채를 제외한 190억 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CK 허치슨 홀딩스는 이번 거래는 순전히 상업적인 것으로 최근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정치 뉴스와 완전히 무관하다고 하였습니다. 신속하고 조용하게 경쟁 입찰이 이뤄졌고 최적의 조건을 써낸 블랙록 컨소시엄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이번 협상이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한때 재무장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인사입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에게 수시로 상황을 보고하면서 거래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리카싱은 이번 거래로 짭짤한 실익을 챙겼습니다. 허치슨 홀딩스의 항만 사업 부문은 그룹 내 매출 기여도가 떨어지고 수익률도 낮아 골치가 아픈 사업 부문 중 하나였습니다. 이번 거래 전 항만 부문의 평가 금액은 105억 달러 정도였다고 합니다. 적잖은 이익을 챙기면서 미중 사이에서 골치가 아팠던 파나마 운하 두 항구도 처분해 버린 겁니다.

사진:  Unsplash 의 Alex Pagliuca

공시가 나온 이후 홍콩은 벌집을 쑤셔놓은 듯 난리가 났습니다. 친중 매체인 홍콩 대공보는 잇달아 사설과 평론을 실어 리카싱을 공격했습니다. 이 신문은 “파나마 운하는 전 세계 해운 물동량의 6%, 중국 화물운송량의 21%가 통과하는 곳으로 미국 손에 넘어가면 중국 기업과 공급망이 큰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줏대 없이 미국에 무릎을 꿇고 돈 앞에서 대의를 잃은 행위로 조국과 민족, 중국인 전체를 배신했다”고 했습니다.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정부) 홍콩·마카오판공실도 홈페이지에 대공보의 평론을 실었습니다.

 

존 리 홍콩 행정장관도 사회적 우려를 중시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등 중국 정부 기구들도 이번 거래가 안보에 문제가 되는 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당정 기구까지 나섰다는 건 최고위층의 기류가 심상찮다는 걸 의미합니다. 청쿵그룹이 중국 당국에 사전에 이 거래를 알리지 않은 점 등에 대해 시진핑 주석이 분노하고 있다고 합니다. 시 주석 등 최고위층은 파나마 항구를 트럼프 행정부와 담판할 때 사용할 협상 카드로 생각했는데 손 쓸 틈도 없이 당해버렸다는 것입니다.

 

중국 당정 기구까지 나선 것은 미중 영향력 쟁탈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파나마 운하 문제에서 미국에 패배한 걸로 비치는 데 대한 시 주석의 불쾌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합니다.

 

중국이 이 거래를 뒤집을 카드는 마땅치 않다고 합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케이만군도에 등록해 있는 다국적 기업으로 중국과 홍콩 지역 매출 비중이 전체의 12% 정도에 불과합니다. 강압적인 수단을 동원한다면 트럼프 행정부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겁니다.

 

 

 

 

 

출처: ChatGPT,조선일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