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의 부활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미국·프랑스·영국·스웨덴 등 여러 나라가 이미 원자력 발전 늘리기에 이미 나섰습니다. 원전에 부정적이던 이탈리아·노르웨이·호주에서도 기류가 바뀌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맞서려면 탄소 없는 원자력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점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탈리아와 노르웨이. 초창기엔 원자력 기술에 관심이 컸지만, 지금은 가동 중인 원전이 한 곳도 없는 나라입니다. 이탈리아는 1990년 세계에서 가장 먼저 ‘탈원전’ 국가가 됐고 연구용 원자로 2기를 운영해온 노르웨이는 2019년 이를 완전히 폐쇄됐습니다.
그런데 원전의 종말을 선언했던 이들 나라에서 원자력 에너지가 부활할 조짐입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최근 소형 모듈형 원자로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노르웨이 정부는 원자력 발전 도입을 검토하는 공식위원회를 꾸렸습니다.
논란 끝에 원전을 폐쇄했던 국가들이 왜 유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원자력 없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화석연료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동안 이탈리아는 태양광, 노르웨이는 풍력 발전을 확대해 왔는데 풍력이나 태양광만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전력량을 메우려니 한계에 부닥칩니다. 무엇보다 너무 많은 땅이 풍력 터빈 또는 태양광 패널로 뒤덮이게 된다는 게 문제인겁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뒤 에너지 안보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진 것도 원자력을 다시 돌아보게 했습니다. 이탈리아는 13년 전 국민투표에서 90% 넘는 유권자가 원전 재도입에 반대했을 정도로 원자력을 혐오하는 나라인데요. 최근 설문조사에선 37% 응답자가 ‘원자력 기술이 더 안전하다면 이탈리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원전에 대한 거부감이 크게 옅어진 건 유럽 국가만이 아닙니다. 멀리 떨어진 호주에서도 최근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는데 선을 1년 앞두고 야당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기 때문입니다. 지난달엔 원전을 어디에 지을지 7개 부지도 공개했습니다.
호주는 역사상 한 번도 원전을 지은 적이 없습니다. 1998년에는 원자력 발전소를 포함한 모든 핵 시설 운영을 금지하는 법을 G20 국가 중 유일하게 만들었을 정도 입니다.
그렇게 호주에선 원자력 에너지는 끝난 줄 알았건만. 호주 여론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2011년만 해도 호주인의 62%가 원전에 반대한다고 답했는데 올해 4월 여론조사에선 61% 응답자가 원자력 발전을 지지하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제외하면 유럽에선 다시 원전으로 돌아가는 흐름이 뚜렷합니다. 원전의 단계적 폐쇄 계획을 세웠던 벨기에나 스페인은 가동 기간을 연장했고 동유럽 국가가 공개한 원전 건설 계획은 최소 12기, 건설비용으로는 총 1300억 유로에 달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시에 원전에 대한 회의론도 점점 커집니다. 안전과 환경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것보다도 훨씬 더 큰 걸림돌이 있습니다. 바로 시간과 돈입니다.
프랑스 EDF(프랑스전력공사) 컨소시엄은 영국에 힝클리 포인트 C 원전을 짓고 있는데요. 당초 2025년이라던 완공 시점이 계속 미뤄져 이제 이르면 2029년 예정입니다. 그만큼 공사비용도 180억 파운드에서 340억 파운드로 증가하였습니다.
지난해 가동이 시작된 핀란드 올킬루오토 3호기은 공사 기간이 무려 13년이 지연되어 17년에 달했고, 역시 EDF가 건설 중인 프랑스 플라망빌 3호기 역시 계획보다 12년이 지연되어 17년의 긴 공사를 거의 마치고 드디어 시운전에 들어갔습니다.
미국의 최신 원전인 조지아파워 보글 3호기, 4호기는 공사가 7년 지연되면서 원래 예상했던 건설비(140억 달러)보다 170억 달러가 더 들었습니다.
원전 반대론자들은 바로 이 점을 강하게 비판합니다. 흔히 원자력 발전 장점이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보다 저렴한 생산단가에 있다고 하는데 천문학적 공사비용을 따지면 그 반대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지금 원전 건설을 시작해도 15~20년 뒤에나 원전이 돌아간다면 그전까진 무엇으로 전기를 공급하느냐도 문제입니다. 선진국에서 원전 건설은 너무 느리고 비싸기 때문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원자력 발전의 너무 높은 건설비용을 문제로 지적합니다. 현재 미국·프랑스·영국에서 건설 중인 대형 원자력 발전소는 발전비용이 MWh당 약 150~200파운드이 될 거라고 합니다. 이 지역 태양광·풍력 발전(MWh당 50~60파운드)의 몇 배입니다. 이걸 MWh당 100파운드 이하로 낮춰야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겁니다.
각국이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속속 내놓은 지금. 그래서 중요한 건 납기와 예산에 맞춰서 원자력 발전소를 빨리 지을 수 있는 능력입니다. 한국 기업으로 구성된 ‘팀코리아’가 체코 원전 수주를 따낸 것도 이런 적기 시공 능력 덕분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그런데 걱정스러운 게 있습니다. 바로 인력인데요. 지금 유럽은 원전 건설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미 프랑스·영국·스웨덴에서만 수십만명의 용접공과 엔지니어가 부족하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인데요.
2035년까지 원전 6기를 추가 건설한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운 프랑스의 경우, EDF가 앞으로 10년 동안 10만명의 원전 건설 인력을 추가로 모집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미 은퇴한 직원까지 다시 고용할 정도로 인력 구하기에 안간힘이라고 합니다. 자연히 임금 수준도 올라갈겁니다.
영국은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4배로 늘린다는 목표입니다 . 이를 위해 10년 동안 필요한 인력은 12만3000명입니다. 영국 정부와 업계는 견습생을 구하기 위한 대대적인 캠페인에 나섰습니다.
2045년까지 최소 10개 이상의 원자로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스웨덴 사정도 마찬가지입니다. 역시나 수만 명 근로자가 필요합니다.
물론 한국기업은 빨리, 잘 만드는 생산 관리 능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일손이 부족하고, 임금이 치솟는다면 발전소를 제때 짓는 일이 쉽진 않을 수 있습니다. 이미 동유럽 국가에선 프랑스의 신규 원전 건설 현장으로 유럽 내 인력이 다 쏠릴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최근 유럽 상황을 볼 때 원전 산업 앞에 밝은 미래가 빛나고 있는 건 맞지만, 거기 도달하기까지 헤쳐 나가야 할 과제도 만만찮아 보입니다.
출처: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