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독사 사망자는 2021년 3378명, 2022년 3559명, 2023년 3661명으로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독사는 1인 가구라면 누구나 맞닥뜨릴 수 있는 일 입니다. 평범한 가정이 있는 사람도 자녀가 모두 출가하고 부부 중 1명이 먼저 사망하면 1인 가구가 됩니다. 이혼 등으로 비자발적 1인 가구가 되는 경우도 이제 한국 사회에서는 흔한 일이 되고 있습니다.
2023년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로 전체 가구 중 35.5%를 차지했습니다. 30여년 지난 뒤인 2052년 10가구 중 4가구가 1인 가구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고 합니다.
최근 중장년 남성의 고독사도 크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 회사에서 퇴직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거나 가족과 단절되는 사례가 많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고독사에 대한 사회적인 대응은 대부분 노인과 청년층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사각지대가 생기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에선 2020년에 ‘고독사 예방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고독사 위험이 있는 경우 국가 및 지자체가 나서서 이를 막아야 한다는 의무를 규정했습니다.
하지만 고독사 관련 정책이 지자체별로 이뤄지다 보니 거주 지역에 따라 지원 여부가 크게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지자체별로 중첩되는 사업도 많아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관련 공무원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고립 가구를 상시 돌보는 ‘우리 동네 돌봄단’은 아주 좋은 제도 입니다. 하지만 담당자가 너무 자주 바뀐다고 합니다. 대부분 낯선 사람을 보면 경계하고 마음을 열지 않다가 1~2년간 꾸준히 찾아야 겨우 마음을 여는 분들인데 담당자 자주 바뀌면 아무래도 불편해 한다는 것 입니다.
한국도 해외 사례를 참고해 셰어하우스나 공공 후견인 제도 등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적으로 시도해 보면 국내 사정과 맞지 않아 도입되지 못한 것들이 많다고 합니다. 고독사 방지와 관련해 많은 연구와 면밀한 정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청년 고독사로 이어질 수 있는 고립·은둔 청년 문제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합니다. 이들이 질병에 걸리거나,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하면 사회적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고, 궁지에 몰린 청년들이 각종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도 높기 때문입니다.
2023년 타인과의 유의미한 교류가 없는 사회적 고립 상태의 청년 인구는 약 54만명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청년 고독사 현장은 다른 경우보다 더 마음이 더 아프게 한다고 합니다. 청년 고독사 현장에서는 쳥년들이 외로워서 반려견 등을 키우는 경우가 많은 데 죽은 반려동물이 주인이 죽은 후 밥을 먹지 못해 아사한 상태로 많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청년들은 취업 등 경제적 문제를 겪다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년 고독사 현장에서는 이력서 뭉치 등 마지막까지 삶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자주 발견된다고 합니다.
지난 2021년 대선을 앞두고는 한 청년의 고독사 사연이 정치권에 충격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31세의 청년은 6평 남짓한 오피스텔에 살았는데 오피스텔에서 150여 장의 이력서가 발견되어 사연을 접한 이들의 가슴을 먹먹하게 하였습니다.
20‧30대 고독사 사망자는 2019년 218명, 2020년 206명, 2021년 217명, 2022년 205명, 2023년 208명 등으로 매년 꾸준히 200명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청년 고독사 사례가 줄지 않고 있지만 노년층보다 청년층 위험군을 관리하는 일은 더 어렵다고 합니다.
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들의 경우 경계심이 많다고 합니다. 막상 자신이 고독사 위험군이란 소리를 들으면 거부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딤딩 공무원들은 청년 사업을 안내하겠다는 등의 명분으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데 마음을 열게 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합니다.
주기적 안부 확인 등 고독사를 빨리 발견하는 것에만 사회적인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심리 치료 지원, 정서적 지원, 취업 지원 등으로 청년들을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고 합니다.

고독사 현장에서는 퇴직한 세무 공무원, 간호사, 회사원 등 다양한 평범한 직장인도 고독사를 당한다는 사실에 놀란다고 합니다. 사회적으로 낙오된 사람만 고독사를 당한다는 것은 편견이라고 합니다.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은 안부를 챙겨줄 지인이 없어 고통 속에 세상을 떠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 현장에선 고인이 오랜 기간 몸부림친 흔적이 발견됩니다. 아마 쓰러진 후 의식은 있지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서서히 죽어간 것으로 추측이 된다고 합니다.
고독사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 문제와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지역 사회, 개인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고독사 예방의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ChatGPT,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