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해 만든 이색 라면들이 여행지의 매력을 한층 더해주고 있습니다.
서울, 대전, 제주뿐 아니라 일본 도쿠시마까지, 다양한 곳에서 지역성과 이야기를 담은 라면들이 출시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식품을 넘어 지역 홍보와 관광 유인 효과까지 이끌어내는 이들 '지역 한정 라면'은 맛과 스토리 모두를 만족시키는 트렌디한 소비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서울라면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만들어낸 최초의 브랜드 라면으로, 서울시와 풀무원이 협업하여 개발했습니다. 이 라면은 매콤한 국물이 특징인 '로스팅 서울라면'과 춘장의 감칠맛이 살아 있는 '로스팅 서울짜장' 두 가지 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강한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튀기지 않은 건면을 사용하고 칼로리를 360㎉로 낮췄습니다.
서울 시민들의 건강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반영하려는 시도였으며, 수익의 일부는 사회공헌사업에 활용된다는 점도 인상적입니다. 최근에는 서울시 대표 캐릭터 '해치'를 활용한 포장 디자인으로 재출시되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좋은 기념품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 수출되고 있으며, '푸드 QR' 시스템을 통해 제품의 원재료 및 성분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대전시의 꿈돌이 라면은 지역 캐릭터 마케팅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전의 공식 캐릭터 '꿈씨패밀리'를 활용해 만든 이 라면은 출시 한 달 만에 50만 개 판매라는 기록을 세우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소고기 맛과 해물짬뽕 맛 두 가지로 출시되었고, 국물의 깊은 맛과 매운맛 조절이 가능한 스프 등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았습니다.
대전역과 꿈돌이하우스, 지역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구매할 수 있어 여행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양은냄비, 냄비 받침 등 다양한 캐릭터 굿즈와 연계된 마케팅이 소셜미디어에서 호응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꿈돌이 막걸리까지 출시되어 지역 브랜딩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외 도시 중에서는 일본 도쿠시마 라면이 독특한 사례입니다.
국내 항공사 이스타항공이 도쿠시마 노선의 활성화를 위해 하림, 세븐일레븐과 협업해 출시한 제품으로, 진한 간장 기반 돼지뼈 육수에 청귤즙을 동봉해 도쿠시마 라면의 특징을 살렸습니다. 라면 용기의 QR코드를 통해 도쿠시마 지역의 관광 정보도 제공하고 있어 식품을 매개로 한 여행 홍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제품은 이스타항공 기내에서도 판매되고 있어 여행 전후에 현지의 맛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주도의 딱멘과 돗멘은 제주산 딱새우, 흑돼지, 감자, 당근 등을 활용해 지역성을 극대화한 라면입니다.
딱멘은 딱새우의 감칠맛이 살아 있으며, 돗멘은 흑돼지 원료를 스프에 활용해 깊은 국물 맛을 냅니다. 제주 전통시장에서만 구매할 수 있어 제주 여행 중 특별한 먹거리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소개되며 입소문이 퍼졌고, 제주 감자면의 쫄깃한 식감도 큰 장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지역 라면이 인기를 끌면서 라면을 주제로 한 공간과 축제도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라면 라이브러리'는 라면을 책처럼 선반에 진열한 콘셉트의 특화 편의점입니다. 홍대상상점을 비롯해 전국 55곳에서 운영 중이며, 매운맛의 정도에 따라 라면을 분류하거나 컵라면 모형 시식대, 즉석 조리기, 포장지 전시 공간 등을 갖추고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 명소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경상북도 구미시는 매년 라면을 테마로 한 '구미라면 축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농심 라면 공장이 위치한 구미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매년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갓 튀긴 라면', '라믈리에 선발대회', '농심 산업 투어', '라면 주제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단위 관광객과 라면 애호가 모두를 만족시키는 행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올해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미역 일원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이처럼 라면은 단순한 간편식품을 넘어 지역의 특색, 문화, 관광을 한데 묶는 중요한 콘텐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다음 여행에서는 그 지역의 특산 라면을 꼭 한번 맛보는 것도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될 것입니다.
출처:ChatGPT,매일경제,서울시홈페이지,구미라면축제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