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간 12일 오후 1시 1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조치가 발효되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특정 품목에 대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일괄 부과하는 첫 관세입니다. 한국의 대미(對美) 철강 수출 면세 쿼터(연간 263만t)를 비롯해 미국이 각국과 맺었던 모든 예외와 면제 조치 역시 사라졌습니다.

미국은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해외 철강업체를 유치해 자국에서 중요 안보 물자인 ‘쇳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조치입니다. 미국이 관세 장벽을 높게 쌓은 가운데 ‘저가 철강 밀어내기’를 지속해 온 중국은 최근 철강 감산(減産)과 구조 조정 촉진을 할 방침입니다.
여러 변수가 얽히면서 세계 6위 철강 생산국이면서 대미 4위 철강 수출국인 한국 철강 업계의 셈법 역시 복잡해졌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해 국내 철강 업계에선 “기회와 위기가 모두 공존한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당장 이번 관세로 한국 철강 수출의 가격 경쟁력에는 부담이 커졌습니다. 지금까진 연 263만t의 쿼터 안에서 수출을 해오면서 사실상 면세 효과를 봤는데 순식간에 가격이 25% 인상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포스코홀딩스(5.9% 상승), 세아제강지주(4.9%), 동국제강(3.7%), 현대제철(2.5%) 등 주요 철강 기업의 주가가 일제히 오르는 등 호재(好材)로 보는 시각도 많습니다. 우리뿐 아니라 모두가 ‘25% 관세’를 맞고 시작하게 되면서 모든 경쟁국의 출발선이 같아졌다는 것입니다. 기존에 면세 쿼터 이상의 수출은 하지 못했던 한국 입장에선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수출 물량 상한선이 사라진 만큼, 품질 경쟁력을 지닌 고급 철강재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미 철강 수출국 각각 1, 3위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철강 관세 25%’와 ‘보편 관세 25%’까지 더해져 총 5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엔 4위 수출국인 한국이 반사 이익을 볼 것이란 기대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중국은 올해 철강 생산량을 통제하고, 산업 구조 조정을 촉진한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감산 목표를 밝히진 않았지만 시장에선 약 5000만t의 감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 조강 생산량 6351만t의 약 80%, 중국 연간 수출량1억1070만t의 절반이 넘는 수치입니다. 감산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이 주로 철강을 수출하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철강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수
관세 장벽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US스틸 등 미국 업체들이 한국을 비롯한 기존 수출국의 물량을 흡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현재 이뤄지고 있는 미국 철강 가격의 고공 행진이 계속되어 세계 각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증가하면, 미국이 추가적인 무역 장벽을 구축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관세 조치로 더 큰 문제는 수출 중소기업이 직면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 상무부는 이날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뿐 아니라 볼트, 너트, 스프링, 자동차 부품, 가전 부품 등 파생 상품 253개에도 새롭게 관세 25%를 적용합니다.
1000원짜리 수출 부품에 철강이 10% 포함돼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100원어치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입니다. 수출 기업이 이 같은 사실을 소명하지 못할 경우, 부품 가격 전체에 대한 관세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는 점에서대응 여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중소기업으로선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ChatGPT,조선일보,포스코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