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4000달러 붕괴 이후, 금값은 다시 오를 수 있을까?

상식살이 2025. 10. 31. 06:51
반응형

이달 초 트로이온스당 40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금값이 한 달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습니다.

급격히 상승하던 흐름이 꺾이자 고점에 매수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손실을 보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경기 불안과 미중 간 갈등 심화로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며 한때 ‘금 4300달러 시대’가 열렸지만, 최근 들어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매도와 지정학적 긴장 완화 기대가 겹치며 조정 국면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국제 금 선물 시장에서 12월물 인도분 금 가격은 최근 트로이온스당 3964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불과 열흘 전만 해도 4300달러를 웃돌았던 가격이 약 9% 가까이 하락한 셈입니다. 이는 단기 급등세에 따른 조정으로 해석되며,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이 과열된 포모(FOMO·기회를 놓칠까 두려워 무리하게 매수하는 현상) 심리를 진정시키는 과정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Jingming Pan

국내 금값 역시 하락폭이 큽니다.

 

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1g당 금 가격은 최근 18만3600원으로, 15일 기록했던 역대 최고치 22만7000원에서 9거래일 만에 19% 이상 떨어졌습니다. 국제 금값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로 하락한 것입니다. 그 배경에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의 붕괴가 있습니다. 이달 중순까지 국내 금 거래 가격은 국제 시세보다 약 20% 높았는데, 현재는 그 차이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프리미엄이 붙은 시점에 고가 매수에 나섰던 투자자들은 그만큼 더 큰 손실을 입게 되었습니다.

 

금 관련 금융상품의 부진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ETF 시장에서 금과 관련된 상품 대부분이 최근 한 주간 수익률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TIGER KRX금현물, ACE KRX금현물, KODEX금액티브 등 대표적인 금 ETF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이는 금 현물뿐 아니라 관련 지수 상품에 대한 투자심리도 위축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금값이 다시 오를 수 있을까’에 쏠리고 있습니다.

 

월가의 일부 기관은 전망을 다소 보수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내년 말 금값 전망치를 트로이온스당 3500달러로 낮추며, 지난 몇 달간의 급등세는 과도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금 가격은 기본적으로 달러 가치와 실질금리, 그리고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미중 갈등이 완화되는 기류를 보이고, 미국의 통화정책이 안정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안전 자산 선호가 일시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대의 시각도 존재합니다. JP모건은 개인 투자자와 각국 중앙은행의 꾸준한 금 매입 수요가 이어질 경우 내년 4분기 평균 금값이 온스당 5055달러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세계 중앙은행들은 달러 자산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금 보유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은 역대 두 번째로 많았으며, 중국·폴란드·터키 등이 적극적인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한국에서도 금에 대한 관심은 꾸준합니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실물 자산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은 금을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이어가는 한 금값의 중장기 강세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금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이 크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경기 둔화기마다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작용해 왔다는 점에서 여전히 투자 매력도가 높다는 평가입니다.

 

결국 이번 금값 조정은 과열된 단기 수요가 식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금값은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국제 정세, 통화정책, 투자 심리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단기간의 상승과 하락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중장기 흐름 속에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각국의 중앙은행은 여전히 금을 ‘최후의 가치 저장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기 조정이 끝난 후 금값이 다시 상승세를 탈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시장의 일시적 조정과 투자자들의 심리 변화 속에서도 금이 지닌 실질적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번 하락 국면 속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습니다.

 

 

 

 

 

출처:ChatGPT,조선일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