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폭탄 없이 여름나기: 에어컨 절약 사용법 총정리
올여름, 많은 가정에서는 에어컨 사용을 앞두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작년 여름 역대급 폭염 속에서 전기요금 폭탄을 경험한 이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일부 가정에서는 여름철 한 달 전기요금이 50만 원, 70만 원을 넘기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올해도 무더위가 예고되자, 전기요금을 줄이면서도 더위를 견디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우리 집 에어컨이 정속형인지 인버터형인지 여부입니다.
2012년 이전 출시된 구형 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으로, 설정 온도에 도달해도 전력 소비가 줄지 않아 수시로 껐다 켰다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반면 인버터형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자동으로 속도를 줄이기 때문에, 오히려 계속 켜두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는 낮은 온도로 빠르게 냉방하고, 이후에는 25~26도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는 방식이 적절합니다.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장 전기가 많이 소모되는 순간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처음 켤 때 실외기가 가장 강하게 작동하며 많은 전력을 소모합니다. 따라서 자주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는, 일정 온도에 도달한 뒤 ‘절전 모드’나 ‘자동 운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전기요금 절약에 효과적입니다.
에어컨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전기 절약 팁도 실생활에 유용합니다.
· 햇볕 차단이 핵심입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활용하여 직사광선이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면 실내 온도
가 2~3도 낮아지고, 에어컨 작동 시간도 줄어듭니다.
· 에어컨 필터는 2주에 한 번 청소해 주세요. 필터가 먼지로 막히면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전력 소비는 늘어납니다.
·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병행해 사용하면 찬 공기가 방 전체로 퍼지기 쉬워져, 에어컨의 실외기 가동을 줄일 수 있
습니다. 특히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방향과 선풍기 송풍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취침 시에는 ‘취침모드’나 타이머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하면, 한밤중에도 무의식적으로 에어컨
을 켠 채 잠들어 생기는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절약 팁으로 ‘제습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상황에 따라 전기 소비가 달라집니다. 습도가 높은 날 제습 기능을 오래 사용하면 냉방보다 오히려 전기요금이 더 나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에어컨의 ‘에너지 세이빙’ 기능이나 ‘절전 모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실제로 요금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전기요금을 줄이고 싶다면 정부가 운영하는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전기 사용량을 직전 2년 같은 달 평균보다 3% 이상 줄이면, 절감한 전력량에 따라 kWh당 30~100원이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됩니다.
작년 한 해에만 166억 원 규모의 혜택이 지급됐고, 상위 절약 가정은 2만 원 이상을 절약하기도 했습니다. 이 제도는 별도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7월 13일까지 가입하면 로봇청소기나 제습기 같은 경품 추첨 이벤트도 함께 진행됩니다.
에어컨을 새로 구입할 계획이 있다면 정부가 올 여름부터 시작하는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도 유용합니다. 에너지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구입할 경우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3등급까지 포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 환급은 예산 한도 내에서 조기 종료될 수 있기 때문에, 계획이 있다면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더위는 피할 수 없지만, 정보를 알고 실천하면 전기요금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가전제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작은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여름철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혜롭게 대비하여 시원하고 경제적인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출처: ChatGPT,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