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로코노미 열풍, 지역 특산물과 기업이 만드는 상생의 맛

상식살이 2025. 8. 12. 05:56
반응형

국내 식품과 유통업계 전반에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제품 출시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로코노미(로컬+이코노미)’라는 이름의 전략으로,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꾀하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고 차별화된 상품으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시도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지역의 맛을 경험할 수 있고,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며 매출을 늘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국맥도날드는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2021년부터 ‘한국의 맛’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매년 한 지역 농가와 협력해 국내산 특산물을 활용한 한정 메뉴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첫 해에는 경남 창녕군의 마늘을 활용했고, 이후 전남 보성군, 전남 진도군, 경남 진주시, 전북 익산시와 차례로 협력해 각 지역의 농산물을 전국 소비자들에게 알렸습니다.

 

올해는 창녕 마늘을 사용한 ‘창녕 갈릭 버거’와 ‘창녕 갈릭 치킨 버거’를 재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다시 선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맥도날드의 한국의 맛 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약 617억 원 규모의 사회경제적 가치가 창출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창녕군이 약 443억9000만 원, 진도군이 91억7000만 원, 진주시가 63억8000만 원, 보성군이 17억10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맛 사업 진행 후 창녕군의 마늘 매출은 15억 원이 늘었고, 농가 소득은 3억9000만 원 증가했습니다. 진주시는 고추 매출이 9억3000만 원 증가했고, 농가 소득은 2000만 원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정 메뉴 판매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 사례입니다.

 

롯데웰푸드 역시 ‘맛있는 대한민국 상생로드’라는 이름으로 지역 특산물 활용 제품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부여 알밤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올해는 전북 고창군의 꿀고구마를 활용한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빈츠’, ‘마가렛트’, ‘카스타드’, ‘빵빠레’, ‘찰떡아이스’ 등 13개 브랜드 제품에 고창 꿀고구마를 적용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맛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업계에서도 지역 농산물 활용이 활발합니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2022년부터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동반성장위원회와 함께 상생음료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라 문경 스위티’, ‘리얼 공주 밤 라떼’, ‘옥천 단호박 라떼’, ‘유자 자두 에이드’, ‘해남 찐고구마 라떼’ 등이 출시되었으며, 820여 개 카페에 약 36만 잔 분량의 원·부재료를 공급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본사 차원의 이벤트를 넘어 소규모 카페 운영자와의 상생 구조를 만든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편의점 업계에서도 로코노미 전략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CU는 전남 진도 곱창김을 활용한 삼각김밥을 선보였고, 이전에는 보성 벌교 꼬막, 횡성 한우, 고창 장어 등 각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간편식을 출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여행이나 귀향 시 현지에서 맛볼 수 있었던 특산물을 일상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로코노미 전략이 특히 MZ세대의 가치 소비 성향과 맞닿아 있다고 분석합니다. 지역 특산물 활용 제품이 단순한 맛의 차별화를 넘어, 소비자들이 자신의 소비를 통해 지역 경제와 환경에 기여한다고 느끼게 하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길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이기도 합니다.

 

지역 특산물과 대기업의 협업은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큽니다. 소비자는 더 많은 지역의 맛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고, 농가와 지역 사회는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통해 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생 모델이 장기적으로 한국 식품·유통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ChatGPT,동아일보,한국맥도날드인스타그램,CU인스타그램

 

반응형